본문 바로가기

다제내성균전문은행 등 분야별병원체자원전문은행 실물자원 분양 개시(9.2.금)

알 수 없는 사용자 2022. 9. 2.
반응형

 

다제내성균전문은행 등
분야별병원체자원전문은행 실물자원 분양 개시

 

주요 내용

국가관리「병원체자원 보존·관리목록」에 등재된 자원분야별병원체자원전문은행에서 실물자원 분양
분양 기관 : 3개 기관
- 항생제내성균주전문은행(서울여대) : Salmonella Typhimurium 등 10주
- 다제내성균전문은행(약제내성연구과) : Acinetobacter baumannii 등 1,080주
- 구강세균전문은행(조선대) : Fusobacterium hwasookii 등 12주
○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을 통해 신청

 

 국립보건연구원(원장 권준욱) 국립감염병연구소(소장 장희창) 국가병원체자원은행(은행장 김성순) 「병원체자원은행 고시」 제정·시행* 함에 따라 분야별병원체자원전문은행(이하 전문은행)에서 해당 병원체자원을 분양할 예정이다.

* 「병원체자원은행 운영·관리 등에 관한 고시」가 제정·시행(’22. 8. 19.)(붙임 1 참고)

 

○ 그간 국가관리 「병원체자원 보존·관리목록」에 등재된 자원은 국립보건연구원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만 분양 가능했으나, 전문은행에서도 분양이 가능하도록 분양체계를 개선했다. (붙임 2 참고)

 

- (국가병원체자원은행) 분양접수, 승인 및 회신

 

- (전문은행) 은행별 자원 분양신청서 및 활용계획서 등 서류 검토, 자원반출, 분양수수료 수령

* 「분야별병원체자원전문은행 관리 및 운영지침」(’22.6.29)

 

□ 분야별 병원체자원 분양이 가능한 전문은행은 다음과 같다. (붙임 3 참고)

 

○ 분양 가능 기관: 3개 기관

 

- 항생제내성균주전문은행(서울여대) : Salmonella Typhimurium 등 10주

 

- 다제내성균전문은행(약제내성연구과)* : Acinetobacter baumannii 등 1,080주

* 분양 개시 : 9월 말 예정

 

- 구강세균전문은행(조선대) : Fusobacterium hwasookii 등 12주

 

 전문은행에서 분양 가능한 병원체자원 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*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*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 안내 : http://nccp.kdca.go.kr

 

 병원체자원을 분양받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.

 

○ 병원체자원 분양신청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(http://nccp.kdca.go.kr)  「병원체자원온라인분양창구(http://is.kdca.go.kr)」에서 가능하며,

 

- 분양신청공문, 병원체자원 분양신청서, 병원체자원 관리·활용계획서, 시설·장비 보유 증명서* 등의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.

* 질병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신고한 기관 또는 생물안전작업대(Biosafety cabinet; BSC)와 고압증기멸균기 설치, 폐기물 및 실험폐수 처리 등 생물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한 기관

 

○ 다만 분양 기관마다 분양 수수료 납부 방법 및 인수할 장소가 상이하므로 주의를 요하며, 각 기관 인수절차안내서를 확인하여야 한다.

* 분양신청 시 인수절차안내서 확인 가능

 

 권준욱 국립보건연구장은 병원체자원 분양 가능 기관이 전문은행으로까지 확대됨에 따라 “전문성 및 다양성을 확보한 분야별병원체자원이 국내 보건의료 산업에 적극 활용되어, 백신 및 치료제 개발, 진단제 개발 등이 더욱 촉진될 것”이라고 말했다.

 

 

○ 분양기관별 분양 문의

- 국가병원체자원은행 : 043-913-4260, 4261

- 항생제내성균주병원체자원전문은행 : 031-556-7730

- 다제내성균병원체자원전문은행 : 043-719-8250, 8248

- 구강세균병원체자원전문은행 : 062-608-5733

○ 온라인분양창구 가입 및 권한 승인 문의 : 043-913-4257, 4270(대표전화)

“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.”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