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에서 중견기업의 정의와 특징
1) 중견기업의 정의와 특징
미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연 매출액이 천만 달러 이상 10억 달러 미만을 중견기업으로 보며 약 19만 5천여개 사가 이 기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
중견기업군의 비중은 전체 고용자 수의 34%에 해당하여 대기업(31%)이나 중소기업(35%)과 유사한 수준
중견기업은 평균업력이 31년으로 상당히 안정적인 사업형태를 지니고 있어 중소기업과 확연히 구분되고 있음 (<표 III-5> 참조)
중견기업의 업력은 대기업과 거의 유사한 형태로 20년 이상이 70%를 차지하고 있음
중견기업의 4%만이 5년 미만인 반면 중소기업은 44%가 5년 미만으로 나타남
기업규모 | 평균업력 | 비율 | ||
5년 이하 | 5년~19년 | 20년 이상 | ||
중소기업 | 6 | 44 | 40 | 16 |
중견기업 | 31 | 4 | 26 | 70 |
대기업 | 35 | 4 | 25 | 71 |
자료: GE Capital
중견기업은 미국 전역에 고르게 위치하고 있어 남동부에 집중된 중소기업이나 뉴욕 도심 지역에 집중된 대기업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 (<표 III-6> 참조)
더구나 금융위기 이후에도 새로운 고용을 통해 대기업의 고용감축 효과를 상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
금융위기 이후 중서부 지역에서 대기업들이 490만 명의 근로자를 감축한 반면, 중견기업들은 50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였음
Midwest | Western | NY/NJ | Southwest | Southeast | Mid- Atlantic |
New England | Mountatin Plains |
20.9 | 18.6 | 11.7 | 10.6 | 16.4 | 10.1 | 6 | 5.7 |
자료: GE Capital
중견기업들은 주로 서비스업(31.3%)과 제조업(17.3%)에서 활동하고 있어 대기업이나 중소기업과는 다소 상이한 산업분포를 보이고 있음
대기업은 제조업(28.0%)과 서비스업(23.3%)에 골고루 분포된 반면 중소기업은 서비스업(56.2%)에 치중되어 있음
해외사업 비중이 28%로 대기업(60%)에 비해 현저히 낮아 내수 중심인 것을 확인할 수 있음
대기업 | 중견기업 | 중소기업 | |
서비스업 | 23.3 | 31.3 | 56.2 |
제조업 | 28.0 | 17.3 | N/A |
운송업 | 10.6 | 5.4 | 3.8 |
소매업 | 10.2 | 12.4 | 10.7 |
금융․부동산업 | 14.9 | 8.4 | 8.3 |
건설업 | 2.2 | 9.3 | 9.1 |
Wholesale | 6.7 | 13.8 | 4.0 |
광업 | 2.9 | N/A | N/A |
농수산업 | N/A | N/A | 4.3 |
지주회사 | N/A | N/A | N/A |
기타 | 1.2 | 2.1 | 3.6 |
자료: GE Capital
고객수요 창출 | 기술투자 | 효율적인 조직운용 | 정책, 경제 등 외부환경 극복 | 고용자 관련 |
26 | 20 | 19 | 19 | 16 |
자료: GE Capital
2005~2010년 동안 중견기업의 최상위 20%는 평균성장률 26%라는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음
이는 GDP 평균성장률의 10배에 달하는 성과로서 공격적인 투자, 운용비용 감축, 높은 이익률, 높은 시장가치 등에 기인하고 있음
불황 중에도 최상위 20%의 중견기업들은 최하위 20%의 중견기업들에 비해 2.5배 투자를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남
최하위 그룹의 중견기업들에 비해 평균 17% 이상 비용감축에 성공하여 보다 효율화된 조직구축에 성공
최상위 20%의 중견기업의 평균 이익률(EBITDA/매출액)은 12%로 최하위 그룹의 -1%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준을 보임
주식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경우 자산대비 시장가치가 높게 나타남
2) 중견기업의 자금조달 구조
1980년대 이전의 미 중견기업은 일본이나 국내와 비슷하게 은행차입과 경영진의 주식으로 자금조달을 행하였음
중견기업 전체 주식의 91%가 해당기업의 개인이나 가족에 의해 보유되었으나 2010년에는 이 비율이 59%까지 떨어짐
2010년 기준 투자액이 6천억 달러에 달할 정도로 현재 중견기업의 주요한 자금조달원은 프라이빗에쿼티(PE) 형태가 되었음
투자는 중견기업의 주식의 3~40%를 흡수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, 근시일 내에 중견기업 총자본총액의 48%를 보유하게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
프라이빗에쿼티를 통해 차입을 통한 레버리지와 메자닌금융이 용이해졌으며 경영진의 업무능력도 향상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
2010년 기준 프라이빗에쿼티가 보유중인 중견기업은 약 30,000여개로 추정되고 있음
이들은 중견기업 중에서도 규모가 크며 실적이 상당히 좋은 기업을 다수 포함하고 있음
따라서 이들이 매입하지 않은 중견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매력이 떨어진다고도 볼 수 있음
'뷰티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리나라 가계 소비지출의 특징 (0) | 2022.07.15 |
---|---|
식중독 원인 증상 예방법 알아봐요 (0) | 2022.07.14 |
일본에서 기업 규모별 정의 및 특징 (1) | 2022.07.14 |
미국에서 중소기업의 위상과 자금조달 방식의 특징 (0) | 2022.07.14 |
독일정부의 중견기업 정책 (0) | 2022.07.14 |
댓글